전체 글355 Nitrokey HSM key import 처음부터 HSM을 사용하지 않다가 HSM을 사용하게 된다면 기존의 Key와 인증서들을 HSM으로 Import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것은 보안상의 문제로 많은 HSM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습니다. (잘 생각은 안나는데.. 무슨 인증을 받으려면(CC였나?) 이러한 기능이 존재하면 안된다고 합니다.. 확실치는 않아요.. 지나가다 본거 같아서.. 정확히는 key import의 경우 안전한 random으로 만들어진 key가 아니라서 그랬다고 했나 쨋든...)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만큼..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HSM내에서 안전한 Random generator를 통해서 생성한 Key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고 HSM내부에만 저장하여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 또한.. Key를 .. 2019. 6. 8. 전동 블라인드 만들기 피곤해서 누웠는데 창문으로 밝은 빛이...★...ㅠㅠ 블라인드 내리기 귀찮아서 언제 전동블라인드 만들어야지... 생각만 하다가 휴일이 된 김에 만들었네요~ 블라인드 제조사는 기억이 안납니다.. 뒤지면 나올텐데.. 뭐 다들 비슷할거라 생각해서 PASS하고.. 사용한 부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스테핑 모터 : 17HS4401 (토크 : 40N.cm 으로써 토크가 큰걸 골랐습니다. (블라인드 무거움..)) 모터 드라이버 : DRV8825 모듈 (vref=0.7V 으로써 current limit를 1.4A으로 정했습니다.) 제어 : Arduino Pro mini 릴레이모듈(필요없지만.. 혹시나 해서 보호회로 구현하려고 넣음.. FET가 없어서 그렇지 그냥 FET쓰거나 모터드라이브 Shutdown하는게 더 나아요... 2019. 6. 6. Kubernetes Node가 계속해서 NotReady/Ready를 오가는 경우 kubelet와 kubernetes-cni를 업그레이드 하고 관련해서 flannel등등 업그레이드 하고... 중요한 것! # kubeadm upgrade apply v1.14.2 이 명령으로 apiserver를 업그레이트 해 주어야 한다! 1.13.1 환경에서 가끔 연결 끊기고 DB연결이 특히나 문제가 되었었는데.. 그런 문제가 말끔히 해결되었다... 2019. 6. 3. kubernetes 업데이트시 자꾸 죽으며 error: /run/flannel/subnet.env: no such file or directory 오류 kubernetes 업데이트시 자꾸 죽으며 error: /run/flannel/subnet.env: no such file or directory 오류날때... 일단... sudo apt-get upgrade kubelet kubernetes-cni docker.io 으로 업그레이드 하고 이런 오류가 나면... # kubectl -n kube-system delete daemonset kube-flannel-ds 기존의 flannel을 지우고 새 버전의 # kubectl create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coreos/flannel/master/Documentation/kube-flannel.yml 불러오는 중입니다... flannel으로 다시 시대해보길.. (.. 2019. 6. 1. postfix restrictions 에 대해.. 끄적끄적 postfix으로 메일서버 구축하면서 끄적임... (아 어려워..ㅠㅠ 설명이 어려워.. 그림으로 설명해주면 안되나?ㅋㅋㅋㅋ) **추가** Docker로 만들어서 올렸습니다. postfix + dovecot + mysql(mariadb) 연동합니다. kubernetes 설정포함 https://github.com/jc-lab/mailserver-docker restrictions 문법 smtpd_sender_restrictions = aaa, bbb, ccc # 한 줄에 쓸 때 이렇게 smtpd_sender_restrictions = # 여러줄로 쓸 때 이렇게 aaa bbb ccc restrictions에 들어가는것들 permit_mynetworks : mynetworks에 정의된 네트워크로 들어오는 요청에.. 2019. 5. 28. jwt-cpp mbedtls으로 사용하기 https://github.com/jc-lab/jwt-cpp-with-mbedtls 2019. 5. 17.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6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