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 및 운영/Kubernetes23

Ceph 사용시 XFS 사용시 주의!! Ceph 설치 후 서버 동작중에 서버가 죽어버리는 문제가 발생했다. 어떤 상황이냐면... 1. 초기 동작시에는 문제가 없지만 IO가 좀 발생하면 문제가 발생함. 2. 문제 발생시 특정 동작에 hangs이 걸리고 아무것도 동작하지 않음 (Deadlock) -> ps -aux 명령이 그러함. ps aux 을 하면 프로세스 목록이 보이다가 곧 멈춰버리는데 보여줘야 할 프로세스 (마지막으로 보여지는 pid의 다음 것)에 문제가 있음. cat /proc/(문제pid)/cmdline 등의 명령도 멈춰버림. 3. 시스템 정상종료 불가 -> unmonut 불가로 보임 커널 로그는 아래와 같다. [ 5092.890984] libceph: osd2 up [ 6646.588531] INFO: task containerd:1.. 2020. 3. 22.
Kubernetes yaml 자동 생성기 Kubernetes에서 사용할 Deployment/Service설정 yaml을 온라인 상에서 GUI로 만들 수 있게ㅜ도와주는걸 만들었습니다. https://jc-lab.github.io/auto-generator/#/ kube-yaml-generator jc-lab.github.io github에 소스 공개되어 있으니 기능 추가 및 개선 PR주심 넘나 감사! https://github.com/jc-lab/auto-generator/ jc-lab/auto-generator Contribute to jc-lab/auto-generato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2019. 11. 9.
Kubernetes 설치 Kubernetes Master Node 초기화 sysctl 수정 현재 Runtime에 대한 sysctl 변경 $ sudo sysctl net.bridge.bridge-nf-call-iptables=1 vim 으로 sysctl 에 대한 영구 설정 변경 $ sudo vim /etc/sysctl.d/99-sysctl.conf net.bridge.bridge-nf-call-iptables=1 # 추가 kubeadm $ sudo kubeadm init --pod-network-cidr=172.30.0.0/16 --service-cidr=10.244.0.0/16 마지막에 나오는 문장 기억해놓기 kubeadm join 10.0.0.2:6443 --token ssssss.asdasdasdas --discovery-t.. 2019. 9. 24.
Kubernetes Node가 계속해서 NotReady/Ready를 오가는 경우 kubelet와 kubernetes-cni를 업그레이드 하고 관련해서 flannel등등 업그레이드 하고... 중요한 것! # kubeadm upgrade apply v1.14.2 이 명령으로 apiserver를 업그레이트 해 주어야 한다! 1.13.1 환경에서 가끔 연결 끊기고 DB연결이 특히나 문제가 되었었는데.. 그런 문제가 말끔히 해결되었다... 2019. 6. 3.
kubernetes 업데이트시 자꾸 죽으며 error: /run/flannel/subnet.env: no such file or directory 오류 kubernetes 업데이트시 자꾸 죽으며 error: /run/flannel/subnet.env: no such file or directory 오류날때... 일단... sudo apt-get upgrade kubelet kubernetes-cni docker.io 으로 업그레이드 하고 이런 오류가 나면... # kubectl -n kube-system delete daemonset kube-flannel-ds 기존의 flannel을 지우고 새 버전의 # kubectl create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coreos/flannel/master/Documentation/kube-flannel.yml 불러오는 중입니다... flannel으로 다시 시대해보길.. (.. 2019. 6. 1.
반응형